본문 바로가기

역사/오늘의역사

이승만 대통령의 몰락, 4 19 혁명의 승리

이승만 대통령의 몰락, 4 19 혁명의 승리에서는 한국 현대사의 큰 획을 그은 4 19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다.

 

헌법에도 나와 있는 4 19

대한민국 헌법 전문 첫번째 줄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

 

4·19 혁명은 1960년 4월 19일 한국의 대학생들이 당시 이승만 정권의 부패와 독재에 저항하며 일으킨 민주화 운동이다. 이 혁명은 결국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로 이어지게 되었다. 아시아에서는 드물게 성공한 민주혁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승만의 부패는 어느정도였길래 전국민이 저항하고 헌법 전문에 불의에 항거한 4 19라고 하는 것일까.

 

반민특위 해체, 높은 실업률, 언론 탄압, 사사오입으로 독재를 위한 헌법 개정, 정적 제거, 반공을 이용한 이데올로기 강화, 집권세력의 부패, 우익청년단체 규합, 3 15부정선거 등(요기까지가 조선일보에서 나온 내용임)이 있다.

 

구체적으로 열거하며 너무 많은 내용이 있다. 자국민이 수도 없이 죽어나갔고 국민을 버리고 도망간 지도자였다. 

 

당시 이승만 정부에 대한 불만은 한 두개로 설명할 수 없고 참다참다 결국 4 19 혁명이 터지게 된 것이다. 4·19 혁명은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 혁명을 통해 한국은 독재 정권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공정한 민주 사회로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이후 한국 사회에 민주화 운동의 전통을 심어주었다.

 

4·19 혁명의 발발

 

시위의 시작은 2월 28일 대구에서 학생들이 시위를 벌인 것이었다. 당시 민주당 정부통령 후보 장면 유세일이 일요일이었는데 당국에서는 학생들이 유세장에 갈 수 없게끔 일요일인데도 불구하고 학생들을 강제로 등교하도록 지시했던 것이다. 이에 반발한 경북고 학생들이 "학원을 정치도구화 하지 말라!"고 가두시위를 벌였고 이에 호응한 대구의 여러 고등학교 학생들은 27일 시위를 벌였다. 대구고, 경북고, 경북여고, 경북대사대부고, 계성고, 대구공고등 8개 학교 총 1,200여 명이었다.

대구에서 일어난 2 28 민주 운동

 

하지만 당국에서는 이를 공산당의 사주에 의해 벌어진 일이라고 일축하면서 경찰을 동원해 강제 해산시켰다. 당시 이강학 치안국장은 "학생들이 북한에 이용당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2.28 학생민주의거는 역사적인 4.19 혁명의 첫 도화선을 당기는 역할을 한 것이다.

 

4 19 혁명의 또 하나의 불씨는 3월 15일 부정선거였다.

 

투표함에 미리 투표지를 넣어 놓는 다던가, 대구에서는 이기붕이 5000표를 얻고 장면이 32표를 얻는 말도 안되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런 부정선거에 항의하던 와중에 김주열 열사가 최루탄에 눈을 관통당한 채 마산 앞바다에서 시신이 떠오르게 되었다. 결국 더이상 참을수 없게 되어 폭팔된 것이 4 19 혁명이다.

김주열
김주열 열사

 

1960년 4월 19일, 서울대학교 학생들을 필두로 전국의 대학생들이 거리로 뛰쳐나왔다. 그들은 이승만 대통령의 장기 독재와 부정선거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다. 경찰은 시위대를 무력으로 진압하려 했지만, 이에 격분한 시민들이 학생들에 합류하면서 시위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경찰과 군대의 강경 진압에도 불구하고 시위대는 끝까지 굴복하지 않았다.

 

경찰과 군대의 강경 진압 속에서 시위대와 충돌이 계속되었다. 많은 학생과 시민이 부상을 입었고, 일부는 목숨을 잃기도 했다.

 

결국 4월 26일, 이승만 대통령은 하야를 선언하고 정권을 내놓았다. 이승만은 4월 27일 오전까지도 국가 혼란을 이유로 사임서를 제출하지 않으려고 버티기도 하였지만, 27일 오후 2시 선거 재개 및 내각제 개헌 등을 만장일치로 결의하여 제2공화국이 출범하게 되었다.

 

4·19 혁명의 결과

 

4·19 혁명의 성공으로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는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민주적 선거를 통해 구성된 정부였다. 제2공화국은 이승만 대통령의 장기 독재에서 벗어나 민주주의 체제로의 전환을 이루어냈다.

 

28일 이기붕은 장남 이강석의 자결 총격에 일가족이 모두 동반자살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였다.

 

이승만은 하와이로 망명을 갔고 1965년 7월 19일에 사망하였다.

 

 4·19 혁명의 의의 및 교훈

4·19 혁명은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민주화 운동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한국 역사에서 일반 대중이 봉기하여 정권을 쓰러뜨린 최초의 사건이었다.

4·19 혁명의 보통의 한국인들에게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 있다는 민주주의 기본 원리를 상징하는 역사적 사건이 되었다.

이는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 그리고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시민 참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4·19 혁명은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었다. 이 혁명이 이루어낸 역사적 가치와 의미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도 4·19 혁명의 정신을 계승하며, 더 공정하고 자유로운 민주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4·19 혁명의 유산이 영원히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 :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인기는 체감되지 않는 면이 있다. 최근  대통령 지지율 원인과 결과에 대해 정리해보았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클릭해서 읽어보세요.